본문 바로가기
SRE/AWS

AWS S3(Simple Storage Service) 클래스 고르기 #종류가 너무 많음 #비싸~

by 멍뭉카 2024. 4. 6.
반응형

AWS의 대표적인 스토리지 서비스 S3 입니다. 말그대로 Simple Storage Service 되겠구요, 모두다 S3 Standard를 구성해서 사용하면 좋겠지만 AWS 비용은 만만치 않기에 용도에 따라서 S3의 클래스를 적절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AWS S3(Simple Storage Service) 클래스 고르기

1. 오브젝티브 스토리지란?

2. S3 클래스 비교

3. S3 클래스별 비용 고려

 

 

 

※ 설명에 앞서 AWS를 가장 잘 설명된건 역시 AWS 홈페이지 되겠습니다

https://aws.amazon.com/ko/s3/storage-classes/

 

객체 스토리지 클래스 - Amazon S3

 

aws.amazon.com

 

오브젝티브 스토리지란?

AWS의 S3는 오브젝티브 스토리지인데, 오브젝티브 스토리지가 뭔지 정리해보기 위해 구글검색을 해보고 했지만 결국... ChatGPT에 물어본 내용을 복붙해서 적어봅니다 제가 정리 해보려고 해도 이게 제일 설명이 깔끔하네요

 

스토리지를 형태 기반으로 분류해서 오브젝티브 스토리지, 파일시스템, 블록스토리지를 두고 비교하면 어떤 개념인지 잘 들어오더라구요,,

 

오브젝트 스토리지(Object Storage), 파일 시스템(File System),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는 모두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다른 형태의 저장 기술입니다. 각각의 특징과 용도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1. 오브젝트 스토리지(Object Storage):
    • 데이터를 객체로 저장합니다. 각 객체는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를 포함합니다.
    •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적합합니다.
    • 수평적으로 확장 가능하며,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주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되며, Amazon S3, Google Cloud Storage, Microsoft Azure Blob Storage 등이 대표적인 서비스입니다.
  2. 파일 시스템(File System):
    • 데이터를 파일이라는 단위로 저장합니다. 파일은 디렉토리 구조를 따르며 경로를 통해 접근됩니다.
    • 주로 개인 컴퓨터나 기업 서버에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로컬 디스크 또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FS, SMB 등)을 통해 액세스됩니다.
    • 파일 시스템은 작은 파일이나 적은 수의 파일을 빠르게 처리하는 데 효율적입니다.
  3.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
    •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저장합니다. 각 블록은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파일 시스템이나 오브젝트 스토리지와 달리 파일 시스템 구조를 갖지 않습니다.
    • 주로 서버에 연결된 스토리지 장치로 사용되며, 주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나 가상화 플랫폼에서 사용됩니다.
    • 블록 스토리지는 낮은 레이턴시와 높은 처리량을 제공하여 I/O 집중적인 작업에 적합합니다.

 

역시 챗GPT가 최고 입니다, 오브젝티브 스토리지는 확장성이 좋아 대용량 처리가 가능하고, 비정형 데이터 처리하는데도 용이하다고 하는데요 대충 특징만 봐도 요즘시대에 필요한 스토리지가 아닌가 싶습니다

 

S3 클래스 비교

S3 클래스에 대해서 비교 해봅니다 종류가 많기 때문에 사용 용도에 맞게 잘 선택 해주셔야 합니다 흔히 저렴한 스토리지로 알고 있는 S3 Glacier 클래스는 3가지로 분류가 되는 점도 참고 해주셔야 합니다

 

클래스 가용영역 사용 사례
S3 Standard ≥ 3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를 위한 범용 스토리지
S3 Intelligent-Tiering ≥ 3 액세스 패턴을 알 수 없거나 액세스 패턴이 변경되는 데이터에 대해 자동 비용 절감 효과 제공
S3 Express One Zone 1 가장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를 위한 고성능 스토리지
S3 Standard-IA ≥ 3 밀리초 단위의 액세스가 필요한 자주 액세스하지 않는 데이터
S3 One Zone-IA 1 자주 액세스하지 않는 데이터 재생성
S3 Glacier Instand Retrieval ≥ 3 Instant Retrieval을 통해 일년에 몇 번 액세스하는 장기 데이터
S3 Glacier Flexible Retrieval ≥ 3 거의 액세스하지 않고 요금이 저렴한 백업 및 아카이브 데이터
S3 Glacier Deep Archive ≥ 3 거의 액세스하지 않고 요금이 매우 저렴한 아카이브 데이터

 

그리고 제가 유심히 봤던 가용영역 부분 인데요, AWS는 지리적 관점에서 구분을 리전이라고 하는데요 이 안에서 다수의 가용영역으로 다시 나눠어 집니다 여기서 가용영역이라고 하면 지역 내 개별 데이터 센터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말 그대로 특정 지역에서 여러 데이터 센터 내에 데이터를 중복해서 저장을 하고 있는 구조라는 뜻입니다 물론 One Zone 제품은 이름만 봐도 하나의 가용영역 이겠구요, 개인적으로 이게 엄청난 기능이라고 생각 하는데요 저렇게 3벌씩 저장을 해주니 S3 가 보장해주는 가용성이 99.99%가 될 수 있겠습니다

 

S3 클래스별 비용 고려

S3 클래스의 요금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Standard같은 경우 용량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점도 참고 하셔야 하구요, Standard를 100이라고 했을 때 다른 클래스 비용에 대한 비율도 계산해 봤습니다 어떤 스토리지를 사용할 때 이득인지 비교 검토 할 때 참고해볼 수 있습니다.

 

※ 역시 AWS가 제일 정확하게 설명 해줍니다 : https://aws.amazon.com/ko/s3/pricing/

 

클래스 스토리지 요금
(기본요금 기준)
최소스토리지 기간 요금 요금 비율
S3 Standard     ~   50TB : 0.023 USD
    ~ 450TB : 0.022 USD
500TB초과 : 0.021 USD
없음 100
(기준)
S3 Intelligent-Tiering Freequent Access ~ 50TB 0.023 USD
Freequent Access ~ 450TB 0.022 USD
Freequent Access 500TB초과  0.021 USD
Infrequens Access 0.0125 USD
Archive Instant Access 0.004 USD
Archive Access 0.0036 USD
Deep Archive Access 0.00099 USD
없음 100 - @
(티어 변경부분만큼 감소)
S3 Express One Zone 0.16 USD 1시간 696
S3 Standard-IA 0.0125 USD 30일 54
S3 One Zone-IA 0.01 USD 30일 43
S3 Glacier Instand Retrieval 0.004 USD 90일 17
S3 Glacier Flexible Retrieval 0.0036 USB 90일 16
S3 Glacier Deep Archive 0.00099 USD 180일 4

 

Standard가 기본이란 뜻인데 가격은 왜이리 비쌀까 하는 아쉬움이 좀 있습니다. 대용량을 고려한다면 비용이 뭐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입니다

 

최소 스토리지 기간 요금이라는 것도 잘 고려 해야 합니다 

일단 한번 들어오면 저 기간만큼 비용이 발생 되겠습니다(빠꾸 없습니다) 낮은 등급의 스토리지가 저렴하겠지만 오랫동안 저장할 목적이 아니라고 한다면 좀 더 고민을 해보아야 합니다

 

휴=3 그냥 쫌 싸게 좋게 해주지,, 한편으로 좀 얄미운 AWS 네요,,

 

AWS는 클라우드비용을 미리 계산해볼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하니 참고 해주세요, 입력하는 항목이 만만치는 않지만;;; 그래도 눈탱이 맞지 않으려면 잘 사용해야만 하는 기능 되겠습니다

 

https://calculator.aws/#/addService

 

AWS Pricing Calculator

 

calculator.aws

 

 

 

 

 

 

함께 보면 좋은 글

 

[DevOps/AWS] - [클라우드] AWS 아키텍처 아이콘 소개

 

 

반응형

'SRE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AWS 아키텍처 아이콘 소개  (0) 2023.05.31

댓글